맨위로가기

도도 다카히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도 다카히사는 1669년 아버지 도도 다카쓰구의 은퇴로 쓰 번의 번주가 된 인물이다. 그는 번정 개혁을 통해 재정난을 타개하고 백성들의 지지를 얻었으나, 시라토 산의 도토 채취를 금지하여 이가야키의 쇠퇴를 초래했다. 다이로 사카이 다다키요의 사후에는 막부에 접근하여 정치적 입지를 다지려 했지만,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에게 지나치게 아첨하여 다른 다이묘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1703년 사망했으며, 아들이 없어 동생 도도 다카무쓰가 가문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번주 - 도도 다카하루
    도도 다카하루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이세 히사이 번과 쓰 번의 번주를 지내며 농촌 부흥과 학문 장려에 힘썼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쓰번주 - 도도 다카사토
    도도 다카사토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히사이 번과 쓰 번의 번주를 역임했으며, 쓰 번의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1806년에 사망했다.
  • 도도씨 - 이마바리성
    이마바리성은 1604년 도도 다카토라가 건설하여 에도 시대에는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의 거성이었으나, 메이지 시대 폐성령으로 해체되었고 현재는 재건된 천수각과 일부 성벽, 해자가 남아 있는 일본 100대 명성이다.
  • 도도씨 - 이마바리번
    이마바리번은 에도 시대 이요국에 존재했던 번으로, 1600년 도도 다카토라가 봉해지면서 시작되어 도도 가문 이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이 다스렸으며, 막부 말기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협력하여 존속하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이마바리현이 되었다가 에히메현에 병합되었다.
  • 1638년 출생 - 루이 14세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 국왕인 루이 14세는 72년간 재위하며 절대 왕정을 강화하고 프랑스 문화의 황금기를 이룩했으나 잦은 전쟁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절대 왕정의 전성기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 1638년 출생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스페인 공주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는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궁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교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지참금 미지급 문제는 후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도도 다카히사
인물 정보
이름도도 다카히사
한자 표기藤堂高久
로마자 표기Tōdō Takahisa
출생1638년 3월 11일
사망1703년 6월 13일
국적일본
관직
작위종4위 하, 좌근위권소장, 시종, 이즈미국 수
가문
씨족도도 씨
아버지도도 다카쓰구
어머니다라오 씨
형제자매도도 다카히사
다카미치
다카카타
오사와 모토쓰네
다카치카
딸 (교고쿠 다카카즈 정실)
딸 (안도 시게유키 정실)
딸 (센슈지교엔 실)
딸 (이시카와 마사요시 정실)
딸 (이이 나오타케 정실)
배우자가메히메 (사카이 다다키요 딸)
양자도도 다카치카
경력
주군도쿠가와 이에미쓰 → 이에쓰나 → 쓰나요시
이세국쓰번 번주
쓰번 번주대수: 3
임기 시작1669년
임기 종료1703년
이전도도 다카쓰구
이후도도 다카치카
기타
묘소미에현쓰시의 간쇼인
미에현이가시 나가타의 도도 다카히사 공 묘
미에현이가시의 조교지

2. 생애

도도 다카히사는 쓰 번 제2대 번주인 도도 다카쓰구의 장남으로, 1669년 아버지의 은퇴로 번주가 되었다. 대규모 관개 사업과 새로운 벼농사 개척 등 이전 행정부가 시작한 경제 개혁을 시행하여 초기에는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시라토야마 주변의 점토 채굴을 금지하면서 이가 국의 도자기 산업이 붕괴되었고, 많은 도공들이 영지를 떠나 오미 국의 시가라키로 이주했다.

1681년 급사한 타이로 사카이 타다키요의 딸과 결혼하여[1] 정치적 문제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고자,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신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와 연대하여 동료들로부터 "야나기사와의 발판"이라는 조롱을 받았다.

『토게코슈키』에는 다카히사가 "당대의 명장이자 훌륭한 장수이며, 다른 장수의 거울"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남색과 여색에 빠지지 않았다고 한다.

2. 1. 가독 상속과 번정 개혁

1644년(쇼호 원년)에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알현했다.[2] 1654년 (조오 3년)에 종4위하 이즈미노카미에 서임되었다.[2] 1669년 (간분 9년), 아버지 다카쓰구의 은퇴로 가독을 상속받아 쓰 번의 번주가 되었다.[2]

다카히사는 재정난 타개를 위해 번정 개혁을 단행하여 기강을 바로잡고, 신전 개발과 수리 사업을 추진했다.[2] 이러한 노력으로 백성들의 평판이 좋았으며, 『토게코슈키』에는 "백성들이 (다카히사를) 부처님처럼 생각"하며 존경했다는 기록이 있다.[2]

2. 2. 이가야키 쇠퇴와 막부와의 관계

1669년(간분 9년), 시라도 산(白土山)의 도토(陶土) 채취를 금지하여, 도공들이 대량으로 시가라키로 유출되면서 이가야키 쇠퇴의 원인을 만들었다.[1][2]

다이로 사카이 다다키요의 딸과 결혼했으나, 1681년(덴나 원년)에 다다키요가 급사하면서 정치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막부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학문 강의에 참석하고, 측근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의 저택을 방문하는 등 막부에 적극적으로 접근했다.

특히, 야나기사와에게는 이케다 쓰나마사, 호소카와 쓰나토시, 마쓰다이라 요리쓰네 등과 함께 "야나기사와 가문의 현관지기"라고 불릴 정도로 지나치게 아첨하여, 다른 다이묘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

2. 3. 후사 문제와 죽음

도도 다카쓰구의 장남으로, 1669년에 아버지의 은퇴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야나기사와 요시야스가 후사가 없는 다카히사에게 자신의 차남을 양자로 들일 것을 강요했으나, 주요 가신들이 잇따라 할복하며 반대하여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1] 결국 1703년(겐로쿠 16년 4월 29일)에 에도에서 사망한 후, 영지는 다카히사의 동생인 다카치카(또는 다카미쓰)에게 넘어갔다.

도도 가문 대대로의 묘소는 쓰시의 간쇼인에 있지만, 다카히사는 유언에 따라 우에노 분지 서부의 나가타 산에 매장되었다. 이 묘소는 미에현 지정 사적으로 지정되었다(도도 다카히사 공묘). 쓰 시 간쇼인(寒松院)에도 묘가 있다.

도도 다카히사의 묘(쓰시 간쇼인)


도도 다카히사 공묘(이가시 나가타・미에현 지정 사적)

3. 평가

『토게코슈키』에서는 "당대의 명장이자 훌륭한 장수"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기록되어 있다.[2]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막부에 영합하는 모습과 이가야키 쇠퇴의 원인을 제공한 점 등은 비판받을 여지가 있다.

4. 가계

아버지도도 다카쓰구
어머니다라오 씨
양아버지도도 다카무쓰
정실가메히메 (사카이 다다키요의 딸)
양자도도 다카무쓰 (친동생)


참조

[1] 서적 Performing the Great Peace: Political Space and Open Secrets in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2-29
[2] 서적 中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